본문 바로가기
공학 과학기술 계산/화학

몰농도 (Molarity) 계산

by MetalSoft 2024. 4. 14.

몰농도 (Molarity)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며, 용액 1리터당 용해된 물질 또는 용질의 몰수로 정의된다.

 

용액의 몰농도는 압력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몰농도는 M으로 표시되며, 1 M = 1 mol/L 이다.

 

1 mole/liter [mol/L] = 1 molar [M]

 

1) 필요한 용액을 만드는 데 필요한 화합물의 질량

Mass (g) = Concentration (mol/L) × Volume (L) × Molecular Weight (g/mol)

 

화합물의 분자량이 46 g/mol 일 때, 10 ml의 물에 이 화합물의 10 mM 원액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질량은?

화합물의 질량 = 0.01 * 0.01 * 46 = 4.6 mg 이다.

 

2) 화합물의 질량을 원하는 몰농도로 제조한 후 용액 부피

Volume (L) = Mass (g) / (Concentration (mol/L) × Molecular Weight (g/mol))

 

황산나트륨 14.2 g으로 몰농도가 0.8 molar 인 용액을 제조한 후 용액의 부피는?

H2SO4의 분자량은 142 g/mol 이므로, 황산나트륨의 몰수 = 14.2 / 142 = 0.1 mole 이고, 용액의 부피 = 14.2 / (0.8 * 142) = 0.125 L 이다.

 

3) 용액의 부피와 용질 질량을 사용하여 만든 용액의 몰농도

Concentration (mol/L) = Mass (g) / (Volume (L) × Molecular Weight (g/mol))

 

예를 들면, 염산 3.65 g을 물에 넣어 제조한 용액의 부피는 50 mL 이다. 용액의 몰농도는?

HCl분자량 36.5 g/mol 이므로, 염산의 몰수 = 3.65 / 36.5 = 0.1 mole 이고, 용액의 몰농도 = 3.65 / (0.05 * 36.5) = 2 molar 이다.

 


결과값 선택 :

Concentration (mol/L) :

Volume (L) :

Molecular Weight (g/mol) :

     

Mass (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