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과학기술 계산/단위 변환37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단위 변환 계산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는 고체-유체 계면을 통한 열 전달을 측정한 것으로 단위 면적을 통해 흐르는 열과 온도차 (ΔT)의 비율이다. 즉, 열전달계수는 물체가 열을 얼마나 잘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며, 값이 낮을수록 재료가 더 나은 절연체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유체와 고체 사이의 대류 또는 상전이에 의한 열전달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일반적으로 유체의 재료 특성과 표면 온도 및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강제 대류의 경우 유체의 유량에도 따라 달라진다. 대류 열전달 계수 h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으며, SI 단위는 W/m2-K 이다. (식 1) Q = h * A * ΔT (식 2) h = q / ΔT Q = 단위 시간당 전달된 열 (W)A = 표면의 열 전달.. 2024. 5. 4.
열저항 (Thermal Resistance) 단위 변환 계산 열저항 (Thermal Resistance)은 특정 형상 및 재료의 물체가 열 흐름에 저항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열 저항의 SI 단위는 K/W (°C/W) 이며, 물체를 통해 단위 열 전류 (W)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온도 차이 (K)를 나타낸다. 또한, 열저항은 물체의 재질과 모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건물이나 기계장치 설계검토시 단열 및 방열 등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설계 형상 및 적용 재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1 K/W = 1 °C/W (Base Unit)1 °F-h/Btu (IT) = 1.8956 K/W1 °F-h/Btu (th) = 1.8969 K/W1 °F-s/Btu (IT) = 0.0005265651 K/W1 °F-s/Btu (th) = 0.000526.. 2024. 5. 3.
열저항률 (Thermal resistivity) 단위 변환 계산 열저항 (Thermal Resistance)은 재료나 물체가 열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재료를 통한 열 전달에 대한 저항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열 저항의 단위는 K/W (°C/W) 이다. 반면, 열저항률 (Thermal resistivity)은 재료가 열 흐름에 얼마나 잘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재료 특성으로, 이는 열을 전도하는 재료의 본질적인 능력을 측정한 것이다. 다양한 재료의 열전도율을 비교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열저항률은 m-K/W 단위로 표시한다.  열저항률은 열전도율의 역수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식 1) r = 1 / k r = 열저항률 (m-K/W)k = 열전도율 (W/m-K) 아래 계산기로 m-K/W, cm-°C/W, h-ft-°F/BTU (int).. 2024. 5. 2.
열확산계수(Thermal diffusivity) 단위 변환 계산 열확산계수(열확산율, Thermal diffusivity, α)는 물질이 열을 흡수하는 능력을 측정한 것이다. 아래 식과 같이, 재료의 열전도율 (k)과 물질의 열 저장 능력 (ρCp)에 의존한다. (식 1) α = k / (ρCp) 열확산계수는 재료마다 크게 다르다. 기체로서 공기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율과 낮은 밀도로 인해 액체나 고체보다 열확산율이 더 높으며, 물은 열용량과 밀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보다 열확산율이 낮다.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확산계수가 높으나, 밀도가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은 열확산계수가 낮아진다.  즉, 일부 재료는 열전도율이 높아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만 열 저장 용량도 높으면 온도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열전도율.. 2024. 5. 1.
디지털 이미지 해상도 (Digital Image Resolution) 단위 변환 계산 인쇄용 고해상도 이미지, 웹 및 디지털 이미지에 최적화된 해상도는 다양한 단위를 사용하며 서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이미지 해상도는 정사각형 단위 또는 길이 단위당 도트 (dot) 또는 픽셀 수 (pixel) 로 표현한다.픽셀은 'Picture Element'의 줄임말로 pixel 또는 화소 라고 한다. PPI (Pixels per Inch)는 디지털 이미지의 해상도 단위로, 1 인치당 가로, 세로를 이루는 픽셀 수로 나타낸다.  PPI가 높을수록 이미지는 선명해진다.DPI (Dots per Inch)는 1 인치당 가로, 세로를 이루는 점의 수로, 보통 이미지와 인쇄물의 밀도를 나타낸다. 아래 계산기로 dot/meter, dot/millimeter, dot/inch (DPI), pixel/inch.. 2024. 4. 26.
휘도 (Luminance) 단위 변환 계산 휘도 (Luminance)는 특정 방향으로 단위 면적당 표면에서 방출되는 빛의 강도로, 주어진 입체각 내에서 통과하고, 반사되고, 떨어지는 빛의 양을 의미한다. 휘도의 SI 단위는 평방미터당 칸델라 (cd/m2)이다. 또한 니트 (nit), 스틸브 (stilb), lumen/meter2/steradian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아래 계산기로 candela/meter2, candela/foot2, lambert, foot-lambert, nit, stilb 등의 휘도 (Luminance)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다. 입력 단위 : candela/meter2 candela/foot2 lambert foot-lambert nit stilb 변환 단위 : candela/foot2 candela/met.. 2024. 4. 25.
광도 (Luminous Intensity) 단위 변환 계산 광도 (Luminous Intensity)는 단위 입체각 (스테라디안, sr)당 특정 방향으로 광원이 방출하는 광속을 측정한 것이다. 광도의 SI 단위는 칸델라 (cd) 이다. 아래 계산기로 candela, candle (German), candle (UK), pentane candle, hefner candle, carcel 등의 광도 (Luminous Intensity)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다. 입력 단위 : candela candle (German) candle (UK)pentane candlehefner candlecarcel 변환 단위 : candle (German) candela candle (UK)pentane candlehefner candlecarcel 입력값 : 지.. 2024. 4. 25.
조도 (illuminance) 단위 변환 계산 조도 (illuminance)는 어떤 면이 받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광선속으로 계산한다. SI 단위는 럭스 (lx) 이며, 이는 평방 미터당 루멘 (lm/m2)으로 측정된다. CGS 시스템에서 조도의 단위는 포토 (phot, ph)이며, 이는 10000 럭스와 같다. 미국에서는 footcandle (fc)을 사용하며, 1 fc = 10.7639 lx 이다. 아래 계산기로 lx, metercandle, footcandle, lm/m2, lm/ft2, phot 등의 조도 (illuminance)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광속, 광도 및 조도는 이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2024. 4. 21.
질량 유량 (Mass Flow Rate) 단위 변환 계산 아래 계산기로 kg/s, kg/hr, lb/s, lb/min, lb/hr, t/hr 등의 질량 유량 (Mass Flow Rate) 의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다. 질량 유량은 단위 시간당 임의의 시스템 표면을 통해 이동하는 물질의 양을 측정한 것이다.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경우 이 표면은 파이프의 단면적이다. SI 단위는 초당 킬로그램 (kg/s) 이다. (식 1) ṁ (Mass flow rate) = Mass​/time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024. 4. 19.
전기차 전비 (EV’s Energy Efficiency) 단위 변환 계산 아래 계산기로 km/kWh, mile/kWh, mile/gallon (MPGe), kWh/100km, kWh/100mile, Wh/km 등의 전기차 전비 (EV’s Energy Efficiency)의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다. 미국의 전기차 전비의 단위는 mile/gallon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휘발유 1 갤런에 해당하는 에너지인 33.705 kWh 당 이동하는 거리이다. 휘발유 갤런당 1마일은 1 MPGe 로 나타낸다. 1 MPGe = 1 mile/gallon = 1 mile / 33.705 kWh = 0.029669 mile/kWh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024. 4. 16.
배터리 용량 Ah 를 전력량 kWh (Ah to kWh)로 변환 계산 암페어시 (Ah)는 배터리 용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전하량 단위이다. 1 Ah는 1 시간 (h) 동안 흐르는 1 A의 전류와 같다. 킬로와트시 (kWh)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전기 소비량 (또는 생산량)을 측정하는 에너지의 단위이다. 1 kWh는 1 시간 (h) 동안 소비하거나 생산하는 1 kW의 에너지와 같다. 아래 식은 배터리 용량 (Ah)을 에너지 (kWh)로 변환하기 위한 공식이다. (식 1) kWh = Ah × V ÷ 1000 (식 2) Ah = kWh × 1000 / V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예를 들어, 전기 오토바이의 배터리 제원이 72 V, 30 Ah 라면 전력량 (에너지)을 나타내는 kWh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72 V x 30 Ah = 2,160 Wh = 2.16.. 2024. 4. 12.
인치 소수 (Decimal)를 인치 분수 (Fraction)로 변환 계산 아래의 순서로 인치 소수를 인치 분수로 변환할 수 있다. 1) 소수점 이하 자릿수로 값을 입력한다. (예: 1.257″) 2) 원하는 정밀도 수준을 입력한다. (1/64, 1/32, 1/16, 1/8, 1/4 등) 3) 계산한 값은 분수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예: 1-1/4 ) 4) 반올림 오류는 절대값으로 Error 칸에 inch 값으로 표시한다. (예: 0.007“) 2024.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