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과학기술 계산/유체 계산

질량 유량을 체적 유량 (Mass Flow to Volume Flow) 으로 변환 계산

by MetalSoft 2024. 4. 19.

질량 유량 (Mass Flow)단위 시간당 특정 단면적을 통과하는 유체의 질량을 나타내고, 체적 유량 (Volume Flow)단위 시간당 특정 단면적을 통과하는 유체의 부피를 나타낸다.

 

유체의 질량이나 부피를 다룰 때 동작에는 차이가 있다. 부피는 온도, 압력 등 공정 조건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질량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가스 또는 액체의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으면 밀도가 낮아지고 압력이 높아지면 밀도가 높아진다.

, 질량 유량은 유체의 밀도에 따라 달라지며 유체의 질량이 중요한 공정에서 사용하며, 체적 유량은 유체의 압축성, 온도 및 압력 변화의 영향을 받으며 유체 체적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한다. 

 

아래 식과 같이 체적 유량은 질량 유량을 유체 밀도로 나누어 변환할 수 있다.

 

(1) Q = ṁ / ρ

 

여기서,

Q = 체적 유량 (m3/s)

ṁ = 질량 유량 (kg/s)

ρ = 유체 밀도 (kg/m3)

이다.

 


변환 방법 :

질량 유량 (kg/s) :

유체 밀도 (kg/m3) :

     

체적 유량 (m3/s) :

 

질량 유량 단위 변환은 이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20 °C 물의 체적 유량이 10 m3/s 라면, 이를 질량 유량으로 변환해보자.

20°C에서 물의 밀도는 998 kg/m3 이므로, 질량유량 = 10 m3/s × 998 kg/m3 = 9,980 kg/s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