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랄농도 (m, molality)는 용매 1 kg에 들어 있는 물질의 양 (용질 mol 수)으로 용액 내 용질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몰랄농도의 SI 단위는 킬로그램당 몰 (mol/kg) 이다.
(식 1) 몰랄농도 (m, molality) = 용질 mol 수 / 용매 질량 (kg) = weight of solute (g) / [Molecular weight of solute (g/mol) × weight of solvent (kg)]
몰랄농도는 증기압과 온도에 따라 변동하는 용액의 농도를 표현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용액의 경우 한 용질의 몰랄농도는 다른 용질의 첨가와 무관하다. 새로운 용질을 첨가해도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과 알코올 또는 합금과 같은 혼합물에서는 어떤 물질도 용매로 간주될 수 없으므로 몰랄농도를 계산할 수 없다.
몰농도와 몰랄농도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3 몰 의 용질과 2 kg의 용매로 구성된 용액의 몰랄농도를 계산해 보자.
m = 3 mol /2 kg = 1.5 mol/kg 이다.
이 때 용질과 용매가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용매 2 kg에 물질이 3 몰 있으면 몰랄농도는 동일하다.
'공학 과학기술 계산 >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폭시 수지 부피 (Epoxy Resin Volume) 계산 (0) | 2024.09.20 |
---|---|
Fick’s 제1 확산 법칙 (Fick’s First Law of Diffusion) 계산 (0) | 2024.07.19 |
몰농도 를 몰랄농도 (molarity to molality) 로 변환 계산 (0) | 2024.05.16 |
용액의 부피와 PPM 농도로부터 용질의 몰 수 (PPM to moles) 계산 (0) | 2024.05.16 |
PPM 에서 몰 농도 (PPM to Molarity) 로 변환 계산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