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에 W의 증기 발생이 있을 때, 실내의 절대 습도를 Xi 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 Q는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식 1) Q (㎥/h) = W / γ * (Xi-Xo) = W / 1.2 * (Xi-Xo)
여기서,
Q : 필요 환기량 (㎥/hr)
W : 단위시간당 수증기 발생량 (kg/h)
γ : 공기의 비중량, 1.2 (kgf/m3)
Xi : 실내 허용 절대습도 (kg/kg)
Xo : 급기 공기의 절대습도 (kg/kg)
이다.
예를 들어, 실내에 수증기 발생량이 2.4 kg/h, 실내 허용 절대습도 0.01 kg/kg, 급기 공기의 절대습도 0.005 kg/kg 일 때 필요 환기량을 구해보자.
Q = 2.4 / (1.2 * (0.01-0.005)) = 400 m3/h 이다.
이 때, 실내 체적이 200 m3 이라면, 환기횟수는 환기횟수 = 환기량/실내 체적 = 400 m3/h / 200 m3/회 = 2 회/h 이다.
'공학 과학기술 계산 > 토목 건축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U-값 (U-value, Thermal transmittance, 열관류율) 계산 (0) | 2024.05.06 |
---|---|
R-값 (R-value, Thermal resistance rating) 계산 (0) | 2024.05.06 |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필요 환기량 계산 (1) | 2024.03.31 |
실내 발열 제거를 위한 필요 환기량 계산 (0) | 2024.03.30 |
공기 교환횟수 (ACH) 및 필요 환기량 (CFM) 계산 (4)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