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온도계수는 α로 표시되며 물질의 양이나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 물질의 성질로, 물질의 이러한 성질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 사이의 관계를 정량화한 것이다.
(식 1) R = Ro(1+ α · ΔT)
Ro = 초기 저항
α = 온도 계수
ΔT = 온도 변화
저항온도계수는 온도 변화와 다양한 재료의 본질에 따른 전기 저항의 증가 및 감소를 결정한다.
저항소자의 경우, α가 0이면 완벽한 저항소자, α 값이 높은 것은 온도에 민감하다는 의미다.
대개 금속은 온도가 증가하면 재료의 저항 값이 증가한다. 그러나 비금속 물질과 반도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기도 한다. 아래 표 1에 대표적인 재료의 저항온계수를 나타내었다.

예를들어, 커피포트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커져 전류가 덜 흐르게 된다. 반면 반도체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줄어들어 전류가 증가한다. 그러므로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려면 피복에 갇힌 도체(열방출이 어려운)나 반도체의 경우 발열을 줄이기 위한 냉각설계가 중요하다.
저항온도계수의 단위는 /℃ (ppm/℃, %/℃) 이다. 구리(Cu)의 저항온도계수는 0.0039/℃ (3,900 ppm/℃, 0.39 %/℃) 다.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값(또는 저항온도계수) 계산
'금속 물성, 규격, 중량 계산 > 물성 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확산계수(Thermal diffusivity) 계산 (1) | 2023.12.10 |
---|---|
금속의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와 열유속(Heat flux) 계산 (1) | 2023.12.10 |
환봉의 인장/압축 하중에 의한 응력, 변형률 및 변형량의 계산 (2) | 2023.12.03 |
도선의 규격(AWG), 저항값 및 전압강하 계산 (1) | 2023.12.03 |
금속의 비열(Specific Heat) 및 열에너지 계산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