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 견적 - LaserManager20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 원가계산 및 견적 작성 방법

by MetalSoft 2023. 10. 10.

들어가며...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의 제품 원가는 크게 제조원가(재료비와 공정비), 일반관리비(제조원가의 일정비율, 5~15%), 이윤(보통 10% 내외)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관리비와 이윤은 회사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계상되나, 제조원가는 대부분의 임가공 회사에서 비슷한 값으로 계산되므로 아래에 제조원가 위주로 설명한다.

(아래 사진은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 원가계산 및 견적 프로그램인 LaserManager20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1. 재료비

절단/절곡/판금 제품의 재료비는 자재사용량(kg) X kg당 단가로 계산한다. 자재사용량은 일반적으로 부품의 실제 치수에 가공 여유(대개 10mm)를 더하여  계산한다. 윈도우 형상이나 삼각형 형상 등의 잔재가 많은 경우  스크랩 가격을 제하기도 한다.

제품에 사용된 금속 판재의 kg당 단가는 https://metal-software.tistory.com/3 의 금속 판재계산기 프로그램을 무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예) SS400의 경우 자재사용량(kg)은 가로 x 세로 x 두께 x 7.85 / 1,000,000 이며, kg당 단가는 현시세를 반영하여 계산한다.

재료비 계산창(LaserManager20)

2. 공정비

절단/절곡/판금 제품의 공정비는 크게 노무비와 경비(장비 사용료, 전기/수도/가스비, 외주비 등)로 구성된다.

상세 공정으로는 절단비, 절곡비, 후공정비(용접비, 조립비 등)로 구분할 수 있다.

절단비는 레이저커팅 장비나 NCT 장비의 시간당 사용료에 부품의 가공시간(부품의 총 절단길이를 가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항목에는 피어싱 비용, 마킹 비용 등도 포함한다. 

 

예) 부품의 총절단길이(mm)는 부품 외곽선 길이와 부품 내부의 원형 홀 및 각형 홀의 절단길이를 더하면 된다. 또한 홀의 총갯수와 외곽선 1개를 더한 것이 총 피어싱 개수이다.

이 때 가공시간(분)은 부품의 총절단길이(mm)를 부품 판재의 두께에 따른 장비의 절단속도(mm/분)로 나누어 구하면 된다. 여기에 피어싱 시간(1개당 3~5초)과 마킹 시간을 더하면 총 가공시간이 된다. 

 

예) 레이저커팅 장비나 NCT 장비의 시간당 사용료(원/hr)는 장비의 감가상각비, 노무비, 경비를 감안하여 정한다. 일반적으로 철, 알루미늄, 스텐레스 등의 금속 재질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절단비 계산창

절곡비는 부품의 두께와 절곡길이별 표준 절곡비에 절곡횟수를 곱하여 구한다.

절곡비 계산창

또한, 후공정비는 사상비, 용접비, 기계가공비, 표면처리 등의 후처리비로 구성되며, 부품별 해당 항목을 추가하여 계산한다. 이 때 외주비가 발생될 수 있다.

후공정비 상세원가창

 

마치며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의 제품 원가 및 견적 계산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임가공 업체의 업무에 부담을 주며, 견적 업무 담당자가 변경되면 견적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비슷한 제품의 견적 계산도 불필요하게 반복하게 된다.

 

레이저 절단, 절곡, 판금의 제품 원가 및 견적 계산 전문 프로그램 LaserManager20을 경험하시면 보다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하다. 

(https://metal-software.tistory.com/2 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