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3

체표면적 (BSA, Body Surface Area) 계산 체표면적 (BSA)는 신체의 표면적을 의미하며, 약물 복용량, 의학적 지표 및 평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여러 가지 계산식이 있지만, Mosteller 공식이 실무 및 임상시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식이다.  Mosteller 공식에 체중 (kg)과 키 (cm)두 가지를 입력하여 신체 표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식 1) BSA = SQRT ( W x H / 3600) = 0.016667 x W 0.5 x H 0.5 평균적인 성인 BSA는 1.7 m2 (성인 남성의 경우 1.9 m2, 성인 여성의 경우 1.6 m2) 이다. 이 숫자는 항암제의 복용량 등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Mosteller 기본 계산 공식 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계산 공식이 있다. Du Bois formula.. 2024. 6. 26.
소아 복용량 (Pediatric Dose) 계산 소아에게 약물을 투여하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연령, 체중, 특정 생리학적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복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체중법과 체표면적법 (BSA, Body Surface Area)이 사용된다.1) 체중법어린이의 체중을 기준으로 성인 복용량으로부터 해당 어린이의 안전한 복용량 범위를 아래 식으로 계산한다. (식 1) 소아 복용량 (mg/day) = 성인 복용량 (mg/kg or mg/kg/day) x 소아 체중 (kg)(식 2) 소아 복용량 (mg/dose) = 성인 복용량 (mg/kg/dose) x 소아 체중 (kg) 예를 들어, 체중 10~30 mg/kg 의  투여량 범위가 성인의 안전한 일일 투여량일 때, 소아의 체중이 20 kg인 경우.. 2024. 6. 26.
프리즘 효과 (Prismatic effect) 및 프렌티스 규칙 (Prentice’s Rule) 계산 빛이 프리즘 (Prism)을 통과할 때 굴절되기 때문에 뇌는 빛에 의해 전달된 이미지를 실제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보게 된다. 프리즘이 빛을 굴절 시키는 힘을 프리즘 파워 (프리즘 효과) 라 하며, 이 때 굴절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단위는 프리즘 디옵터 (Δ) 이다. 1 프리즘 디옵터 (Δ)는 수평으로 1미터 거리에서 빛의 수직 위치를 ​​1 cm 만큼 바꾼다는 의미이다.  (식 1) 프리즘 파워 Δ = 수직 변위 (cm) / 프리즘으로부터의 수평 거리 (m) = x (cm) / y (m) 예를 들어, 광원이 프리즘에서 300 cm 떨어져 있을 때 프리즘은 빛을 9 cm 변위시킬 때 프리즘의 파워를 구해보자.Δ =  x cm / y m = 9 / 3 = 3 Δ 이다. 주어진 렌즈에 존재하는 프리즘 .. 2024. 6. 25.
반감기 (Half-life) 계산 반감기 (Half-life)는 주어진 양이 초기 값의 절반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핵물리학에서 반감기는 불안정한 핵의 절반이 붕괴 과정을 겪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정의한다. 반감기는 부패 속도를 예측하고, 탄소-14 연대 측정을 통해 고대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등의 다른 과학 분야에서도 폭넓게 사용한다. 반감기 공식은 다음과 같다. (식 1) N(t) = N x (1/2) t/t0.5 ⇒ t = t0.5 x ln (N(t)/N) / -ln2(식 2) N(t) = N x e –t/τ(식 3) N(t) = N x e –λt 위의 식을 사용하여 도출한 t0.5, τ 및 λ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식 4) t0.5 = τ ln2 = ln2 / λ N(t) : 시점 t 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잔존.. 2024. 6. 24.
배가 시간 (Doubling Time) 계산 배가 시간은 투자 가치나 규모, 인구, 인플레이션 등이 두 배로 증가하는 데 필요한 기간을 측정한 것이다.배가 시간 공식은 지수 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한 성장률을 가정한다. 배가 시간은 아래 식과 같이 계산한다. (식 1) DT = LN 2 / LN (1+r) 여기서, DT : 2배가 되는 기간r : 이자율과 같은 기간당 증가율 (%)이다. 기간당 증가율, r (%) : 지우기      계산배가 기간, DT :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예를 들어, 이자율이 연간 5 % 인 경우 투자액을 두 배로 늘리는 데 걸리는 기간을 구해보자.DT = LN(2) / LN(1 + 5%) = 14.21 년 이다.. 2024. 6. 24.
응고 시간 및 크보리노프 법칙 (Chvorinov’s Rule) 응고 시간은 주조 공정에서 금속이 응고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고체의 성장 속도는 냉각 속도 또는 열 추출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냉각 속도가 높을수록 응고 시간이 짧아진다.그러나, 실제 응고 시간은 재료 특성, 금형 설계 및 공정 조건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응고 시간, 용탕의 부피, 주물의 표면적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는 아래의 Chvorinov의 법칙에 따른다. (식 1) ts = B x (V/A)n 여기서,ts : 응고 시간 (sec)B : 금형 상수 (sec/cm2)V : 주물의 부피 (cm3)A : 주물의 표면적 (cm2)n : Chvorinov의 법칙 상수, 일반적으로 2 사용이다. Chvorinov의 법칙은 주조품의 기하학적 구조와 열 전달 조건을 설명하며, 작은 부피와 상대적.. 2024. 6. 22.
피치원 직경 (PCD) 계산 피치원 직경 (PCD, Pitch Circle Diameter)은 모든 스터드, 휠 볼트 또는 휠 림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의 직경이다.일반적인 예는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플랜지이다. 이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을 피치원이라 하며, 이 원의 직경이 피치원 직경이다.  피치원 직경 계산 식은 아래와 같다. (식 1) 3 Stud PCD = S / 0.866025(식 2) 4 Stud PCD = S / 0.707107(식 3) 5 Stud PCD = S / 0.587785(식 4) 6 Stud PCD = S / 0.5(식 5) 7 Stud PCD = S / 0.433884(식 6) 8 Stud PCD = S / 0.382683(식 7) 10 Stud PCD = S / 0.309017(식 8) 12 S.. 2024. 6. 21.
프란틀 수 (Prandtl number) 계산 프란틀 수 (Prandtl number) 는 열확산율에 대한 운동량 확산율의 비율로서, 운동량 전달과 열 전달의 관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이다.일반적으로, 열 전달과 자유 및 강제 대류 계산에 자주 사용된다. 프란틀 수가 1보다 작으면 전도성 열전달이 주로 일어나며, 1보다 크면 대류 열 전달이 전도보다 더 중요하다. 프란틀 수는 계산을 위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식 1) Pr = viscous diffusion rate / thermal diffusion rate = ν / α = (μ/ρ) / (k/Cp*ρ) = μ*Cp / k 여기서,ν : 동점도 (kinematic viscosity), m2/s α : 열확산 계수 (thermal diffusivity), m2/s μ : 점성도 (dyna.. 2024. 6. 21.
다이캐스팅 게이트 단면적 (Gate Area) 계산 다이캐스팅 금형의 게이트 단면적은 용융 금속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면의 면적이다. 단면이 직사각형인 게이트의 경우 게이트 단면적은 게이트 길이와 게이트 두께의 곱이다.  적절한 게이트는 주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cycle time을 단축하며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특히 게이트의 형상과 크기는 생산되는 부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flow mark, pore, 수축, flash 등의  결함을 방지하려면 게이트 면적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이캐스팅 공정의 게이트 단면적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식 1) Ag = Flow rate / Gate 속도 = (w / (t x ρ)) / v 여기서,t = fill time (s)w = 게이트 이후 주조 중량 (g), .. 2024. 6. 20.
다이캐스팅 금형 충전 시간 (Mold filling time) 계산 용융 금속이 다이캐스팅 금형 캐비티에 들어가 캐비티를 채우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충전 시간이라고 한다. 고압 다이캐스팅의 일반적인 금형 충전 시간은 대부분 0.01~0.2 s 이다. 충전 시간의 길이는 주조품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르다. 얇고 복잡한 형상의 주조품의 경우 충전 시간이  짧으며, 크고 단순한 형상의 주조품의 경우 충전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 과도한 금형 충전 시간과 용융 금속의 낮은 유속은 빠른 응고로 인한 불완전한 주조, 콜드 셧 및 Flow line 등이 형성되기 쉽고, 금형 충전 시간이 짧고 용융 금속의 유속이 높으면 금형 침식, Pore 등이 증가 할 수 있다. 금형 캐비티를 채우는 금형 충전 시간 (주조 시간)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식 1) t = V / (A.. 2024. 6. 20.
다이캐스팅 형체력 (Clamping Force) 계산 다이캐스팅 기계에 의해 금형에 가해지는 힘이 형체력 (Clamping Force)이다. 이는 주조 중 캐비티 내 용융물의 분리력 (Opening Force)보다 커야 한다.즉, 용융 금속이 높은 압력과 속도로 금형 캐비티에 주입되면 다이캐스팅 기계의 클램핑 장치는 금형이 열리지 않도록 충분한 형체력을 제공해야 한다. 형체력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식 1) F = P * A 여기서,F : 형체력 (kg)P : 주조 압력 (kgf/cm2)A : 총 투영 면적 (cm2)이다. 주조 압력은 용융 금속을 다이 안으로 넣기 위해 플런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재료, 부품형상, 공정조건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다. - 표준 다이캐스팅 부품 : 600 kg/cm2- 더 높은 표준 다이캐스팅 부품.. 2024. 6. 20.
압출력 (Extrusion Force) 계산 압출력은 빌렛의 강도, 압출률 (R = Ao/Af), 빌렛과 다이 사이의 마찰, 공정 조건 (온도, 속도 등)의 영향을 받는다.압출력을 계산하는 데 아래 식을 사용한다. (식 1) F = Ao k ln (Ao/Af) = 2 * (π do 2/4)*k ln (do/df) 여기서,F : 압출력 (N)Ao : 빌렛 면적 (m2)Af : 압출된 제품 면적 (m2)do, df : 압출 전후의 직경 (m)k : 압출 상수 (MPa)이다.(1 Pascal = 1 N/m2 or 1 kg/m.s2) k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며, 유동응력, 마찰, 불균일한 변형 등을 나타내는 팩터이다. 압출 상수, k (MPa) : 빌렛 면적, Ao (m2) : 압출 제품 면적, Af (m2) : 지우기    &nbsp.. 2024. 6. 17.